지난해 열대야는 6월 강릉 지역에서 처음 관측돼, 9월까지 이어졌다.
특히 9월 전국 평균 열대야 일수는 4.3일로, 평년 수준의 40배를 넘었다.
가을에 접어든 9월이면 밤 기온이 떨어져야 하는데, 열 고기압의 이례적인 확장이 차고 건조한 공기의 유입을 막았던 것이다.
온난화의 영향으로 한반도 주변 바다가 평년보다 3~4도 달아오르며 많은 수증기가 밀려든 것도 원인이었다.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으면 이런 극한 열대야는 더 심해질 전망이다.
산업화 이전 대비 온난화 폭이 1.5도 수준일 경우 51년에 한 번 수준이지만, '2도 온난화'에선 10년에 한 번으로 잦아진다.
'2.5도 온난화'에선 2~3년마다 극한 열대야가 찾아올 것으로 예측됐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가 재앙적인 수준으로 치닫기 전에 보다 적극적인 탄소 감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