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생명과학 분야 석학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제31차 아시아·오세아니아 생화학 분자생물학 국제학술총회 (FAOBMB 2025)' 가 오늘(20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했다.
오늘 개막식에는 생화학분자생물학회 강봉균 회장(IBS/서울대)과 아시아·오세아니아 생화학분자생물학 연맹 김준 회장(한동대/고려대),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토마스 쉬트호프(Thomas C. Südhof)교수, RNA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서울대 김빛내리 교수 등 기조 연사를 포함해 30여 개국에서 4,000여 명의 국내외 연구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국제 총회의 주제는 '생명과학, 혁신의 물결이 밀려오다 (Revolution in Biomedical Science; RIBS)'로, 오는 23일까지 3박 4일의 총회 기간 동안 생명과학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와 미래 기술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이 예정돼 있다.
모레(22일) 오전 진행되는 이번 총회의 핵심 기조 강연에서는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토마스 쉬트호프 교수가 '치매 정복의 실마리, 뇌의 장기 기억 회로에서 발견되다' 를 주제로 최신 연구를 발표할 예정이다.
또 RNA 생물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김빛내리 교수(서울대학교/IBS단장)가 '바이러스와 RNA 치료제에서 배우는 RNA 안정성 조절'이라는 주제로 RNA 생물학의 핵심 메커니즘을 조명하는 강연을 할 계획이다.
생화학분자생물학회 강봉균 회장은 "국내 생명과학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가 될 것이며, 차세대 과학기술의 발판을 마련하는 귀중한 시간이 될 것"이라는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