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늘 발표한 수해 대책의 핵심은 홍수 위험을 더 빠르게 알아채고, 더 널리 알리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올여름부터 댐 방류와 강우 상황 등을 가상의 3차원 공간에 구현하는 '댐-하천 가상모형'을 시범 도입하기로 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하류의 홍수 가능성을 예측하고 댐 방류량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전국 국가하천에 설치된 CCTV는 2천7백여 개 가운데 1천 개 이상을 AI CCTV로 바꾸기로 했다.
하천 주변의 사람과 차량을 자동 인식해 대피시키기 위한 것이다.
정부는 홍수 관련 안전 안내 문자 발송도 확대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전국 2백여 곳의 홍수특보 지점에 대해서만 특보 발령 시 안전 문자를 보냈지만, 올해부터는 전국 9백여 곳의 수위 관측소에서 위험 상황이 예측될 때부터 문자를 보낼 방침이다.
정부는 아울러 홍수기 전까지 댐 방류량을 늘려 홍수 조절 용량을 지난해보다 10% 늘릴 계획이다.
또, 장마철에 대비해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만 실시하던 호우 긴급재난문자를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여름철 재난 인명피해가 시간은 오전, 연령대는 60대 이상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는 걸 고려해, 일몰 전 사전 대피도 적극 시행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