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미래세대의 비전을 키우다: 우정초등학교, '평화통일 퀴즈대회' 성황리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민족통일 울산시협의회(회장 이정민)는 2025년 11월 14일(금) 오전 10시, 울산 우정초등학교 승죽관에서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화통일 퀴즈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미래 통일 주역인 학생들에게 올바른 통일관과 역사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회에는 이정민 회장과 이학박사 박성배...
▲ 사진=픽사베이미국의 관세로 직격탄을 맞게 된 유럽연합(EU)이 3일 미국과 협상에 주력하되 강력한 보복 카드도 마련해 두겠다고 밝혔다.
EU 집행위원회 고위 당국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일련의 새 관세 부과로 미국이 EU산 제품에 부과할 추가 관세는 약 800억 유로(129조 원)에 달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관세 시행 전 EU산 제품에 부과되는 관세는 약 70억 유로(11조 원)였다.
이 당국자는 단순 추정치라고 전제한 뒤 "이미 발효된 미국의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및 자동차 부문에 대한 25% 관세에 전날 발표된 EU산 상품에 대한 20% 상호관세까지 시행되면 전체 대미 수출의 70%가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집행위는 협상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즉각적으로 맞불 조처에 나선다면 역내 경제에 더 큰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일부 EU 회원국의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집행위원은 4일 미국 카운터파트와 화상 통화를 할 예정이다.
그는 이미 두 차례 방미해 협상을 시도했으나 빈손으로 돌아왔다.
집행위는 협상 불발에도 대비 중이다.
집행위는 우선 오는 9일 260억 유로(약 42조 원) 상당 미국산 상품에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복관세 패키지를 회원국 표결에 부친 뒤 15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협상 불발로 오는 15일부터 보복관세 패키지가 시행되더라도 일부 품목의 경우 실제 관세 징수는 다음 달 15일부터 이뤄진다고 집행위 당국자는 설명했다.
협상 여지를 남겨두려는 것이다.
자동차와 상호관세에 대한 대응 조치는 한층 더 광범위하게 검토될 예정이다.
특히 미국의 서비스·디지털 부문을 겨냥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집행위 당국자는 "모든 옵션이 고려 대상"이라면서도 '협상 모드'라며 구체적인 구상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그는 "'보복'이라고 할만한 조처를 통해 미국과 협상을 촉진하려 한다"며 "보복은 최종 목표가 아닌 (협상) 수단"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