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지역 대형 산불에 따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가 긴급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늘(3일) “대규모 산불로 서식 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야생 멧돼지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폐사하면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산될 우려가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정부는 먼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저지선에 있는 경북 구미·김천시, 칠곡·청도군과 충북 옥천·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야간에도 야생 멧돼지를 식별할 수 있는 열화상 무인기(10대)와 위치정보시스템(GPS)이 부착된 포획 트랩(1,500개)을 재배치하기로 했다.
또, 먹이터 5곳을 조성해 야생 멧돼지를 유인·포획하고, 사람의 출입이 어려운 구간에는 탐지견을 투입해 폐사체를 수색할 방침이다.
아울러 산불 피해 지역에 설치됐던 차단 울타리의 유지·보수를 진행하는 한편, 수렵인 등 매개체에 대한 역학조사 강화와 기존 매몰지 점검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봄철은 야생 멧돼지의 출산 시기로 개체 수가 늘어나고, 본격적인 영농 활동과도 겹치면서 위험 요인이 확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야생 멧돼지의 아프리카돼지열병은 2019년 10월 경기도 연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경기, 강원, 경북 등 6개 시도로 확산하다 지난해 6월 대구 군위군을 끝으로 추가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