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극한 가뭄과 홍수 등에 대비하겠다며 지정한 기후대응댐 후보지는 모두 9곳이다.
지난해 7월 발표한 14곳 중에서 9곳을 추렸다.
정부는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이르면 오는 2027년 기본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
나머지 5곳 중 충남 지천과 전남 동복천에 대해선 주민, 지자체와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당장 협의가 어렵다고 판단한 강원 수입천 등 3곳은 계획을 보류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는 기후 변화와 미래 수요 등을 감안하면 이들 지역에도 댐 건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강원 수입천 등 저수 용량을 크게 잡았던 지역들이 빠지면서, 예상 물 공급량은 지난해 7월 발표 때의 16% 수준으로 줄었다.
반면, 환경단체들은 정부가 인구 감소 등을 반영하지 않은 채 물 부족 우려를 과장하고 있다며, 댐 건설 계획 자체를 백지화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추가 협의가 예정된 지역의 주민들도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기후대응댐의 총사업비에 대해 14곳 모두 추진 시 4~5조 원 사이, 후보지로 지정된 9곳만 추진 시 2조 원 이하로 추정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