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급여 대상으로 인정되는 '급여 의약품'에 지출되는 보험 약값이 매년 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보면, 건강보험 약품비는 2015년 14조 986억 원에서 2017년 16조 2,098억 원, 2019년 19조 3,388억 원, 2021년 21조 2,097억 원, 2022년 22조 8,968억 원 등으로 매년 올랐다.
특히 2023년에는 26조 1,966억 원으로 전년보다 약 14%나 뛰었습니다. 2015년과 비교하면 8년 사이 86%가량 증가한 셈이다.
또, 2023년 우리나라 전체 진료비는 110조 8,029억 원으로 전년보다 4.7% 늘었는데, 약품비는 그 3배가량 증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의약품 지출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과 비교해 높은 편으로, 실제 우리나라 2020년도 경상 의료비 중 약제비(의약품 및 기타 의료 소모품비 지출 비용) 비율은 19.9%로 OECD 평균(15.1%)을 크게 웃돌았다.
급격한 인구 고령화로 고혈압이나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에 쓰이는 의약품 비용이 증가하는 데다, 국민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고가 항암제와 유전자 치료제 등 신약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한 조치가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2023년 기준 연령대별 약품비 비중을 보면, 60대 환자가 약 6조 6천억 원(25.2%)으로 가장 많았고 70대(19.7%), 50대(16.9%), 80대(11.7%) 순이었습니다. 60대 이상 환자의 약품비가 자치하는 비율은 58.1%였다.
2023년 암과 희귀난치질환자 치료에 투입된 급여 약품비도 각각 8,402억 원, 2조 5,492억 원으로 전년보다 10.8%, 9.7%씩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