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국내 인공지능(AI) 기술력이 미국과 1년 이상 격차가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연 AI 관련 공청회에서 현안 보고를 통해 “국내 AI 업계도 자체 모델을 개발하고 있지만 미국과 여전히 1년 이상 격차가 유지되고 있고 유럽에 비해서도 뒤처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가 인용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난해 3월 조사를 보면 미국 AI 기술과 대비한 각국의 격차는 우리나라 1.3년, 일본 1.5년, 유럽 1.0년, 중국 0.9년이다.
AI 인재 보유와 관련해서도 “첨단 AI 알고리즘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고급 인재가 부족하고 상위 1%급 혁신 인재는 국내 유치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유 장관은 AI 역량 강화를 위해 “뷰티, 헬스, 제조, 재난·안전, 금융·회계 등 분야별 특화 데이터 개방을 확대하고 원본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비용 및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앞서, 정부는 ‘인공지능(AI) 국가대표 정예팀’을 선발한 뒤 글로벌 톱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 개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AI 전환 가속화 등을 골자로 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