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대 기준금리는 2년 4개월 만이다.
코로나19 대유행 막바지인 2022년 10월.
당시 물가가 뛰기 시작하자 3.5%까지 빠르게 올린 뒤, 쭉 3%대를 유지하다 어제 2.75%로 내렸다.
금리 인하는 금융통화위원 7명 만장일치였다.
미국과의 금리차가 1.75%p로 더 벌어지고 환율 부담이 있지만, 금리 인하에 나선 건 그만큼 경기 하방 압력이 더 커졌기 때문이다.
내수는 정치 불안 때문에, 수출은 트럼프 변수 때문이다.
올해 성장률 전망도 크게 내려 잡았다.
한때 2.3%까지 봤던 올해 성장률을 계속 하향 조정했고, 이번엔 1.5%로 까지 낮췄다.
최고점 대비 0.8%p 줄었는데, 단순 계산하면 연간 GDP 18조 원 정도가 감소한 충격이다.
미국의 관세 압박이 더 심해지면, 올해 성장률은 1.4%까지 떨어질 수도 있다고 봤다.
금리 인하 실기론은 거듭 일축했다.
기준금리 인하 직후 금융당국은 은행 압박에 나섰다.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대출금리에 반영돼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