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는 오늘(30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트라우마 대응을 위한 성명서’를 발표했다.
두 학회는 성명서에서 “이 참사에서 특히 중요한 건 생존자와 유가족, 목격자 및 이 사고로 충격을 받을 사람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회복하는 일”이라며 “생존자와 유가족의 트라우마에 관심을 기울여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재난과 같은 감당하기 힘든 고통의 회복에는 충분한 시간과 도움이 필요하다”며 “진정으로 이해해 줄 가족, 친척, 친구와 함께 슬픔과 고통을 나눠볼 것”을 권유했다.
이어 “고통이 심하고 일상생활이 힘들다면 즉시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요청하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두 학회는 “언론의 취재와 보도가 트라우마를 유발하거나 악화해선 안 된다”면서 “대중 역시 사고 관련 언론 보도는 시간을 정해 제한적으로 시청하고, 자극적인 정보를 공유하는 행동을 지양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정부는 생존자와 유가족이 안전한 환경에서 슬픔과 고통의 시간을 견디고 치유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적절한 치료와 심리 지원을 충분한 기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사회적 지지는 재난 트라우마 회복의 핵심”이라며 “생존자와 유가족에 대한 평가나 판단, 섣부른 조언은 삼가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함께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지지와 위로가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