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한강 작가는 평소 즐겨 입는 검은 색상의 차분한 디자인의 드레스를 입고 스웨덴 국왕 앞에 섰다.
국왕이 노벨문학상 메달과 증서를 건넨다.
노벨문학상 증서는 가죽으로 된 양피지로 제작돼 특별함을 더한다.
수상자 선정에도 참여한 엘렌 맛손 위원은 한강 작가를 소개하며 "작품을 관통하는 색은 흰색과 빨간색이라며, 이는 작품 속에서 되짚는 역사적 경험을 상징한다"고 강조했다.
또 "꿈과 현실, 과거와 현재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변화가 끊임없이 나타난다"며 작품 속 인물들은 상처받고, 연약하지만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충분한 힘을 갖고 있다고 소개했다.
스톡홀름 시청에선 국왕과 수상자들, 노벨 재단과 한림원 주요 인사 등 1,300여 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연회가 진행 중이다.
스웨덴의 문화를 전 세계에 보여주는 자리기도 한 만큼 참석자마다 채식 선호나 알레르기 여부 등을 사전에 확인했을 정도로 지난봄부터 몇 달에 걸쳐 준비했다고 주최 측은 설명했다.
이 자리에는 한강 작가를 해외에 소개해 온 출판 관계자와 스웨덴어 번역가들도 참석해 기쁨을 함께한다.
오늘 한강 작가는 한국 언론들과 만난다.
스웨덴 다문화학교를 찾아 학생들과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