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주요 쟁점에 대한 국가 간 이견을 좁히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었지만, 성안에 이르지는 못했다”며, “특히, 플라스틱의 생산 규제 여부, 제품과 우려 화학물질 규제 방안, 재원 마련 방식 등에서 국가 간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해 협상이 난항을 겪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다만 “플라스틱 제품 디자인, 폐기물 관리, 협약의 이행과 효과성 제고 방안 등에 대해선 상당한 의견 수렴이 이뤄졌다”고 전했다.
루이스 바야스 발디비에소 협상위원회 의장은 “일부 문안에 대한 합의가 이뤄진 것은 고무적이지만, 소수의 쟁점이 완전한 합의를 막고 있다는 점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협상위에는 178개국 유엔 회원국 정부 대표단과 31개 국제기구, 산업계·시민단체·학계 관계자 등 3천여 명이 참석했다.
당초 회의는 어제(1일) 종료될 예정이었지만, 마지막까지 치열한 협상이 이어지면서 기한을 넘겨 오늘(2일) 새벽 3시에 끝났다.
환경단체들은 이번 회의에서 합의가 무산된 데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그레이엄 포브스 그린피스 글로벌 플라스틱 캠페인 리더는 “각국 정부가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방치한다면 그 대가는 결국 우리가 모두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에이릭 린데비에르 세계자연기금(WWF) 글로벌 플라스틱 정책 책임자는 “국제 사회가 가장 유해한 플라스틱 제품과 화학물질의 금지에 합의하지 못한다면, 현재와 미래 세대가 안전하고 살기 좋은 지구를 유지할 가능성은 더욱 멀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