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가치 외교'를 통해 대일 관계 정상화, 한미일 3국 협력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어낸 윤석열 대통령.
안으로는 노동과 연금, 교육 개혁이 핵심 국정 과제였다.
올해 초에는 의료 개혁과 저출생 문제 해결도 추가됐다.
윤 대통령은 임기 후반부 '4+1 개혁 완수'에 더욱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뉴스위크와 인터뷰에서도, 4대 개혁은 많은 정권이 선거에서 불리할까봐 하지 못한 과제라며,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강조했다.
민생과 경제 회복을 위한 여러 정책도 준비하고 있다.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인 상속세 최고 세율 인하,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세제 인센티브 강화, 반도체, 원전 산업에 대한 정책 지원이 대표적이다.
문제는 녹록지 않은 정국 상황이다.
총선 참패에 따른 압도적 여소야대 국면에서, 주요 정책 상당수는 국회 동의가 필요해서이다.
당장 인구 정책을 총괄할 인구전략기획부 출범도 정부조직법 개정이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김건희 여사 문제, 명태균 씨 관련 의혹 등으로 악화된 국민 여론을 추스르는 것도 시급한 과제다.
거대 야당과의 관계 설정, 국민적 지지 회복이 임기 후반부 국정 동력 확보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