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명보 감독의 선임 과정에 대한 절차적 정당성 논란이 주로 도마에 올랐던 국회 현안질의.
이와 관련해 억울함을 표하던 이임생 축구협회 기술이사의 마지막 발언은 바로 '잔디 문제'였다.
팔레스타인전 이후 불거진 '상암 잔디' 논란에 정치권의 관심을 촉구한 셈인데, 정작 당장 잔디 관리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서울시설공단의 투자 자체부터가 미흡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벌어들인 대관 수입은 축구 경기와 콘서트 등을 포함해 82억 원에 달하는데, 같은 기간 잔디 관리를 위해 들인 돈은 2억 5천만 원 수준이었다.
잔디 관리자의 인건비 등이 산정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더라도, 서울월드컵경기장이 대관 외에 추가로 벌어들이는 막대한 임대료 수입과 사업 수지율을 고려하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논란이 불거지고 나서야 잔디 관리 총력전을 선언했지만, 결국 피할 수 없었던 A매치 개최 장소 변경.
그나마 용인 경기장의 상대적으로 양호한 잔디 상태에 당장은 한숨 돌렸다지만, 이번 일처럼 잔디 상태가 경기의 갑작스러운 변수가 되지 않도록 더욱 철저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