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세영은 금메달을 목에 걸고 작심한 듯 배드민턴협회에 직격탄을 날렸다.
올림픽이 끝나자, 문화체육관광부가 10여 명의 조사관을 편성해 조사를 시작했다.
문체부는 안세영이 주장한 부상 관리와 복식 위주 훈련 문제, 대회 출전 강요 의혹뿐 아니라 보조금 지급, 협회 후원과 연봉 체계도 세심하게 살펴볼 계획이다.
배드민턴협회 지침에 따르면, 국가대표는 협회가 지정한 경기복을 사용해야 하고 개인 후원은 제한된다.
또, 실업 선수의 경우 계약 기간과 계약금은 연맹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이와 관련해 안세영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스폰서나 계약적인 부분은 많이 풀어줬으면 좋겠다"며 "모든 선수를 똑같이 대한다면 역차별"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대표팀 은퇴 선수의 국제대회 출전 제한도 점검 대상이다.
여자 선수의 경우 만 27세 이상으로 제한하고 있어, 2002년생인 안세영이 국가대표팀에서 나간다면 현행 규정으로는 2028년 올림픽 출전이 불투명하다.
이와 함께 관행상 금지되고 있는 국가대표 개인 트레이너의 필요성도 살펴볼 대상이다.
이번 조사를 토대로 한 문체부 권고안이 다른 협회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 체육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