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넘게 북한의 대남 오물풍선 살포가 이어지며 접경지역 주민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김포 주민들과 시민사회 단체들이 북을 자극하는 대북 전단 살포 중단 및 김포시의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하고 나섰다.
월곶, 통진, 하성 등 접경지역 주민들과 제정당시민사회 단체들은 3일 김포시청 정문 앞에서 ‘대북 전단 살포 중단’, ‘김포시 방지대책 수립’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 주민들과 단체는 “연이은 대북, 대남 전단 살포와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 등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며 접경지역의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로 인한 주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김포시는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대중재단 김포시지회, 김포경실련, 김포교육자치포럼, 김포민예총, (사)김포여성의전화, 김포시친환경농업인연합회, 김포시친환경학교급식출하회, 김포의병기념사업회,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민주우체국본부 김포지부, 민주평화김포시네트워크, 새날의집, 새여울21, 월곶쌀롱사회적협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김포지회, 전국민주노점상연합 김포지역,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김포지회, 진보당 김포시위원회, (사)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김포지회 등이 참여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오강현, 김계순, 정영혜, 유매희, 이희성 시의원과 진보당 김포시위원회 안재범 위원장 등 정당 관계자, 6.16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경기본부 박성철 집행위원장이 함께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여한 접경지역 주민들도 발언을 통해 주민들의 불안감을 전달하고 김포시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했다.
통진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장선희 씨는 “얼마 전 대곶에서 불이 났는데, 소리와 화염에 놀란 주민들이 전쟁이 난 것 아니냐며 우와좌왕 하는 일이 벌어졌다”며 “몇 해 전 연평도 포격사건이 김포에서도 발생하는 것 아닌가며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월곶에 사는 교사 황윤길 씨는 “8년 전 월곶으로 이사와 북한의 대남 확성기 방송을 듣고 놀랐던 기억이 난다”며 “앞으로 오물풍선이 아닌 폭탄이, 탄저균이 날아오지 않을까 두렵다. 이곳이 우리가족, 친구, 제자들이 함께 안전하게 살 수 있는 마을이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을 진행한 이종준 김포경실련 집행위원장은 “지난 6월20일 탈북민단체가 파주에서 대북 전단을 살포하려 하자 파주시장이 직접 나서 이를 제지하고 향후 살포 금지를 위한 조치를 발표한 바 있다”고 전제하고 “파주에서 막힌 이들 단체가 김포에서 살포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시도가 목격되면 즉각 신고하고 알려달라. 적극적으로 막겠다”고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