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와 부산시, 경남도는 3개 시도를 잇는 광역철도망 구축을 위해 힘을 모은다.
울산시는 울산시와 부산시, 경남도 3개 시‧도지사가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와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조기 구축을 위한 공동건의에 나선다고 밝혔다.
울산시에 따르면 울부경은 지난해 말 현재 인구 765만 명으로 수도권 다음의 인구와 경제규모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열악한 철도연결망 등의 영향으로 최근 10년간 39만 명의 인구가 감소하는 등 지역균형 발전을 역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정부의 국정목표 중 하나인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달성과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위기대응과 수도권‧비수도권의 불균형 발전 해소를 위해서도 광역철도 등의 교통망 확충이 절실하다.
이에 3개 시‧도지사는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와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의 조기 구축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작성하고 중앙정부에 협조를 요청키로 했다.
3개 시도지사는 공동건의문을 통해 “빠른 속도와 정시성을 가진 철도가 울부경을 하나로 묶고, 2029년 가덕도신공항 조기개항과 함께 울부경이 재도약 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은 물론 지방 발전에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며,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의 조속한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및 착공과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의 예비타당성 조사 선정 및 통과가 차질 없이 빠르게 추진 될 수 있도록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건의문은 울산시가 대표로 26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에 공문으로 발송한다.
한편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는 케이티엑스(KTX)울산역에서 신복교차로를 거쳐 양산(웅상)을 경유해 부산(노포)까지 연결된다.
총 연장 48.8km로 울부경의 핵심 축을 관통해 고속철도뿐만 아니라, 현재 운영‧공사‧계획 중인 단절된 도시철도망(울산1호선, 부산1호선, 양산선, 정관선)을 이어주는 노선이다.
이는 철도연결망(네트워크) 연계의 파급효과가 크고, 빠르고 정확한 철도로 인해 이용주민 편의증진 및 대중교통 활성화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