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부가 이달 말 국방장관 회담을 열어 ‘초계기 갈등’ 재발 방지책을 확인하고 교류 재개에 합의할 것으로 보인다는 일본 언론 보도에 대해 우리 국방부는 지난해 합의의 연장선상에서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한일 국방장관이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를 계기로 회담하고, 이에 맞춰 한국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가 초계기 문제의 재발 방지를 위해 문서를 교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문서 교환 검토에 대해서 전 대변인은 “현재 협의를 진행 중에 있고, 양국이 하고 있는 협의에 대해서 구체적인 내용을 말씀드리기에는 아직 어려운 부분일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일 초계기 갈등은 2018년 12월 20일 동해에서 조난한 북한 어선을 수색하던 해군 광개토대왕함이 함정 근처로 날아온 일본 해상자위대 P1 초계기를 향해 사격통제 레이더를 조사(照射)했다고 일본 측이 주장하면서 촉발됐다.
당시 일본 측은 그 증거라며 초계기 내부에서 촬영한 동영상을 공개했고, 한국 측은 레이더 조사는 없었고 오히려 초계기가 광개토대왕함 근처에서 저공 위협 비행을 했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해상자위대 수장인 사카이 료 해상막료장은 지난 3월 기자회견에서 “한일 정부가 재발 방지책을 정리한 합의 문서의 책정을 위해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 군이 레이더 조사를 하지 않았다면 재발 방지를 할 게 있냐는 질문에는 “양국이 서로 간에 소통의 오해, 이런 게 있었다면 그런 부분에 대해서 좀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논의를 해가야 된다 그런 뜻”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