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볕이 전혀 들지 않는 지하철 역사.
LED 등이 태양을 대신하고 공기 흐름을 인공적으로 제어하는 이른바 메트로 팜이다.
지하철 역사를 활용한 메트로 팜이 문을 연 것은 2019년.
이곳의 규모는 230 제곱미터로, 서울 내 5개 메트로 팜 중 가장 크다.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데다 빈 공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박은성/플랜티팜 기획팀장 : "이런 밀폐된 공간 내에서는 공기 흐름이나 기류 형성을 인위적으로 일으켜서 식물이 광합성을 하고 양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그런 역할이 되게 중요합니다."]
기후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수직농장 기술에 대해서는 해외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수직농장 수주액은 1억 4천만 달러로 급성장했다.
[송미령/농림축산식품부 장관 : "작은 이런 자투리 공간, 도심 한가운데서도 기후를 컨트롤하면서 이 농장을 운영할 수 있다는 게 매우 매력적인 요인인 것 같아요."]
농식품부는 세계의 수직농장 시장 규모가 연평균 24% 증가할 것으로 보고, 수출 산업으로 육성해나간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