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기업 구글이 대규모 구조조정을 예고했는데, 그 이유에 세계가 놀라고 있다.
구글이 사람이 직접 해왔던 업무에 생성형 AI를 도입했더니 AI가 일을 척척 해냈기 때문이다.
구글은 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기업이나 최첨단 기술을 업무에 도입하는게 어쩌면 당연하다
그렇다보니 첨단을 달리는 기업 '구글에서' AI에게 일자리를 내어주는 현상이 앞장서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개인이나 기업들이 앞다퉈 챗GTP를 이용해보고, 챗GTP를 어떻게 업무에 도입할까 많은 궁리를 했다.
챗GTP는 생성형 AI이다.
글을 쓰라고 하면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라고 하면 그림을 그린다.
구글도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업무에 도입했고, AI가 인간 대신 업무를 수행했다.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은 셈이다.
구글은 AI도입으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였다.
구글 광고 직원이 해오던 일의 상당량을 AI가 대신하게 됐고, 결국 많은 사람이 광고 분야에서 필요가 없게 된거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구글 경영진은 광고 분야에 대해 구조조정을 실시하겠다고 내부적으로 선언했다.
구글의 경영진은 "구조조정이 어떻게 진행될지 정해지지 않았으며" "인력을 재배치할 지 아니면 일부 인력을 해고할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미국의 투자은행 골드만 삭스는 2035년까지 전 세계에서 3억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렇다 보니 AI로 인한 대규모 실업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 그렇게 될 가능성도 적지 않아보인다.
반면 AI가 인간을 완전히 대체할 수 없으며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직업에 대한 수요는 더 늘어날 수 있고, AI와 관련된 새로운 직업이 생겨날 것이라는 반론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