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위기로 기업구조개선, 워크아웃을 신청한 태영건설과 관련해 오늘 채권자 설명회가 열린다.
그런데 워크아웃 여부가 결정되기전에도 논란이 일고 있다.
태영 측이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던 만기 채권을 일부 상환하지 않은 데다, 그룹 차원의 유동성 지원도 공시한 것보다 적은 액수로 집행한 사실이 드러났다.
정부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을 공식화 하며 밝힌 전제 조건은 충분한 자구 노력이였다.
태영그룹은 대주주 일가의 사재 출연과 함께 계열사 매각 자금 등으로 건설사에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런데 태영 측은 지난달 29일 만기가 돌아온 상거래채권 1,485억 가운데 451억 원을 상환하지 않았다.
태영건설 협력업체들이 태영에서 받아야 할 돈을 담보로 은행에서 빌린돈으로 태영이 갚아야 한다.
태영은 워크아웃 절차를 밟게 됐으니 금융채권은 효력이 중단됐고, 이 채권은 금융채권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태영그룹이 계열사 매각 자금을 태영건설 유동성 확보에 사용하겠다고 공시하고도, 1,133억 중 400억 원만 지원한 것도 도마 위에 올랐다.
태영건설 측은 향후 필요에 따라 약 7백억 원을 추가로 차입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
아껴놓았다는 설명인셈인데,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부족한 약속조차 안 지켜지는 상황"이라며 "워크아웃의 대전제가 깨졌다"고 우려를 표했다.
새해 첫날 열리니 경제금융수장들의 회의에선 채권단이 워크아웃을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까지 심도있게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태영건설 채권자를 상대로 한 첫 설명회는 오늘(3일)열리며, 구체적인 자구 계획도 이 자리에서 공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