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재활원(원장 직무대리 김완호)은 돌봄이 필요한 최중증장애인과 거동이 매우 불편한 노인, 돌봄자를 위한 돌봄로봇의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돌봄로봇 정책 심포지엄(학술 토론회)’을 6월 28일(화) 오후 1시부터 저녁 6시까지 국립재활원에서 개최한다.
이번 학술 토론회는 돌봄로봇 중개 연구 및 서비스 모델 개발 사업을 수행하는 돌봄로봇중개연구사업단이 주최하며, ‘돌봄로봇 제도, 서비스와 사회적 가치’란 주제로 진행한다.
돌봄이 필요한 사람과 돌봄자에게 로봇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반 하이테크기술의 접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기술을 활용한 돌봄’의 관점에서 로봇 기술을 활용한 돌봄이 유럽, 일본, 미국 등에서 시도되고 있다.
국립재활원은 돌봄로봇 기술을 바탕으로 생활 밀착형 돌봄로봇 확산을 위한 기반 조성, 돌봄 환경 개선 등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돌봄로봇에 대한 서비스 모델 개발 △중개 연구 △제도 연계를 고려한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립재활원 송원경 재활보조기술연구과장의 ‘돌봄로봇 중개 연구 및 서비스 모델 개발 사업 소개’를 시작으로 4개의 세션과 패널 토의로 구성되며, 국내 돌봄 관련 제도, 서비스와 사회적 가치를 연계해 돌봄 관련 전문가들이 발표할 계획이다.
국립재활원 김완호 원장(직무대리)은 “이번 학술 토론회는 돌봄 로봇 생태계를 확장시켜 돌봄 받는 자와 돌봄자의 삶의 질 향상하는 의견 교류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재활원은 앞으로도 다양한 관점의 토의를 바탕으로 스마트 돌봄로봇 활용 확대 방안을 마련하고, 돌봄 서비스 품질을 제고해 장애인과 노약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