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충청남도의 화재분야 지역안전지수는 3~4등급 수준(1~5단계로 구분, 1등급일수록 안전)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주민 1만명 당 화재 발생 건수는 충남이 평균 9.8건으로 전국 평균 7.5건보다 많고, 최근 5년간 사망자 발생 비율은 충남이 30.1%로 전국 평균 14.4%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최근 충남연구원 재난안전연구센터 조성 센터장은 ‘충남 시군별 지역안전지수 화재분야 취약지역과 개선방안’을 주제로 발간한 정책지도에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인구수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군단위 지역에서 더욱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모든 도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해 지역별 위험수준 진단을 통한 맞춤형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성 센터장은 “화재진압을 위한 출동 시간이 8분(골든타임)을 초과하게 되면, 사망자 및 재산 피해 발생은 2배 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며 “도내 지역별로 보면, 예전에는 도시지역이 군 단위 지역보다 골든타임 내 도착률이 높았으나, 도로 혼잡 등 시부의 교통 여건이 불리해지고, 군부의 개선도가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시부의 도착 시간이 길어지고 군부는 단축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화재 출동 시 교통 정체나 골목 주차 등 장애물 발생이 많은 천안 서북구, 아산시, 서산시, 계룡시 등은 화재 출동에 따른 교통 통제와 골목 주차 단속 및 접근로 확보,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 도입 등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