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적인 ESG정책을 추진하는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기후변화 대응계획을 수립, 2030년까지 66만 톤 온실가스 줄이기에 나섰다고 밝혔다.
구는 2018년 기준 성동구 온실가스 배출량 185만 톤 CO2eq 중 40%인 74만 톤 CO2eq를 감축목표기준으로 설정, 그 중 제조업 및 건설업 등 국가 관리부분을 제외한 66만 톤 CO2eq를 최종 감축목표량으로 정했다.
여기서 CO2eq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로 환산한 양을 말한다.
지난 4일 「기후변화 대응계획 수립 연구 최종보고회」를 통해 성동형 기후위기 대응전략을 마련한 구는 비전과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며 건물, 도로, 폐기물 등 5개 부문에 대한 24개 추진전략과 76개 세부사업을 마련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건물옥상 주차장 태양광 및 수열에너지 이용 확대 등 건축물 신재생 에너지 보급 사업과 승강기 자가발전장치 지원, 성동에코청사 조성과 같은 건물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사업들이 있다.
생활 속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에너지자립마을 조성, ECO-Home 에너지 절약 실천 사업도 추진하며 벽면과 옥상 녹화사업으로 공공건물 탄소흡수원도 확충한다. 공공기관 절수기기 보급 등 수자원 분야 탄소 중립 실천 및 전기‧수소차 보급과 인프라를 확대해 친환경 자동차 이용의 확산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성동형 커피박(커피찌꺼기) 재활용 사업으로 생활 속 제로 웨이스트를 실천, Green 아파트 조성사업, 카셰어링 인프라 확대로 탄소중립을 위한 주민 참여도 강화한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기후위기 대응은 이 시대의 필수적인 사안으로, 탄소배출을 줄이고 쓰레기를 감량하는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공공과 기업, 주민 3자 협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선도적인 ESG 정책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살기 좋은 성동구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