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 사진=부산광역시부산시(시장 박형준)가 소규모 대기배출사업장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힘을 모은다!
부산시는 지난 7일, 지역 내 소규모 대기배출사업장 41곳과 대기질 개선을 위한 「소규모 대기배출사업장 미세먼지 자발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대기배출시설이 밀집된 서부산권의 미세먼지 농도는 부산시 전체 평균 농도(PM-10 31㎍/㎥, PM-2.5 15㎍/㎥)보다 약 4~5㎍/㎥ 높게 측정되어 대기배출시설 설치사업장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사업장 미세먼지 배출량의 40%를 차지하는 소규모 대기배출시설(4~5종) 설치사업장의 미세먼지 저감조치가 요구됨에 따라, 시는 자발적인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이번 협약을 추진했다.
협약 대상은 최근 3년간 「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에 참여해 보조금을 지원받아 사물인터넷 측정기기를 의무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장 41곳이다. 시는 사물인터넷 측정기기를 통해 미세먼지 저감효과 정량화와 효율적인 사후관리가 가능한 이들 사업장을 협약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대기배출사업장은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 대기배출시설 운영시간 단축·조정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한 공정개선 ▲대기오염방지시설 효율 증대를 위한 시설투자 및 소모품 관리 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시는 소규모 사업장이 협약사항을 이행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시는 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자발적 협약 사업장을 확대해 나감과 동시에 사물인터넷 측정기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업장을 대상으로 별도의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소규모 대기배출사업장의 참여를 적극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굴뚝자동측정기 부착사업장(18곳), 연료량 감축 권고 대상 사업장(159곳)과 함께 제조업 연소 및 생산공정 분야 등 산업체 미세먼지를 감축해 나갈 방침이다.
이근희 부산시 녹색환경정책실장은 “제조업 분야 대기질 개선을 위하여는 대규모 대기배출사업장 못지않게 소규모 대기배출사업장 관리와 스스로 미세먼지를 저감하고자 하는 노력이 중요하다”라며 “앞으로 사업장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드린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