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안전보안관, 심폐소생술 교육 체험 및 화재예방 캠페인 실시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구청장 김종훈)는 동구 안전보안관(대표 고이곤)과 함께 11월 6일 오전 10시 전하2동 행정복지센터 회의실에서 동구생활안전체험센터의 ‘찾아가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체험하고 동울산종합시장 일원에서 동절기 대비 화재예방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동구는 동절기 급성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높...
▲ [사진출처 = KBS뉴스 캡처]정부가 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례가 30일까지 국가장으로 치러진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을지국무회의 및 제46회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이번 장례를 국가장으로 해 국민들과 함께 고인의 업적을 기리고, 예우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고인께서는 제13대 대통령으로 재임하시면서 국가 발전에 많은 업적을 남기셨다”며 “국무위원들과 함께,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깊은 애도를 표하고 유가족분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앞서 정치권에서는 노 전 대통령이 금고이상 실형을 받아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예우가 박탈된 상황 등을 고려해 장례를 어떻게 치러야 할지 논의가 이뤄졌다.
국가장법은 2조에서 전·현직 대통령이나 대통령 당선인이 사망 시 국가장을 치르도록 하고 있으며, 중대 범죄를 저질렀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노 전 대통령의 경우 국가장을 치를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결론은 장례를 '국가장'으로 치루되 문재인 대통령의 조문은 생략한 절충안이 채택됐다.
역대 대통령 중에서는 이승만 전 대통령과 윤보선 전 대통령만 가족장으로 치러졌으며 다른 전직 대통령들은 국가가 관장하는 국가장이나 국민장, 국장 형식으로 진행됐다.
국장과 국민장은 2011년 국가장으로 통합됐는데, 2015년 서거한 김영삼 전 대통령의 장례는 국가장으로 치러졌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최규하 전 대통령은 국민장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은 국장으로 진행됐다.
한편, 광주 5·18 단체는 정부의 국가장 결정에 반발했다. 이들은 “노 씨는 5·18 유족들에게 진정한 사과를 하지 않았다”며 “국가장은 있을 수 없다. 전두환 씨도 똑같이 해줄 거냐. 그릇된 선례를 남기면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광주시와 전남도는 노 전 대통령 분향소를 미설치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