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인사의 고발을 사주했다는 의혹에 휩싸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8일 해당 의혹에 대해 “한심스러운 공작과 선동”이라며 정면 부인했다. 윤 전 총장은 해당 의혹을 촉발시킨 문건에 대해서도 “출처와 작성자가 없는 소위 괴문서”라고 일축했다.
윤 전 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번번이 선거 때마다 이런 식의 공작과 선동으로 선거를 치르려고 해서 되겠느냐는 한심스러운 생각이 들어서 오늘 여러분 앞에 섰다”고 밝혔다.
고발 사주 의혹은 지난해 4·15 총선을 앞두고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 전 총장이 측근을 통해 여권 인사들을 야당에 고발하도록 청부했다는 내용이다. 해당 의혹을 처음 제기한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는 관련 증거로 모바일 메신저 캡처 화면과 고발장 사진 등을 공개하기도 했다.
그러나 윤 전 총장은 “종이 문건이든, 디지털 문건이든 출처와 작성자가 확인돼야 신빙성 있는 근거로서 의혹을 제기하고 문제 삼을 수 있는 것”이라며 “그런 것이 없는 것은 문서는 소위 괴문서라고 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해당 의혹 제보자를 향해서는 “그렇게 폭탄을 던져놓고 숨지 말고 당당하게 나와서 디지털 문건의 출처 작성자에 대해 정확히 대라”고 요구했다.
윤 전 총장은 이어 “선거에 나오는 사람은 누구나 국민에게 무한 검증을 받아야 하지만, 문제 제기를 하는 사람도 그것이 허위일 때 책임질 수 있는 방법에 의해서 (문제 제기를) 하라”며 “그렇지 않으면 이것은 국민 모욕이고 사기를 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저 하나 제거하면 정권 창출이 되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윤 전 총장은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가 있다면 응하겠느냐는 질문에 “국회 현안 질의에서 소환한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얼마든지 응하겠다”고 답했다.
윤 전 총장은 진상 규명을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 계획도 밝혔다. 그는 “당 차원에서도 하자고 하고 캠프에서도 묵과할 수 없어서 정치공작 진상규명 특위를 출범할 것”이라며 “원로 법조인·언로인·정치인을 중심으로 해서 앞으로 계속 이어질 정치 공작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