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등을 대상으로 감금과 폭행, 온라인 사기를 저지른 캄보디아 범죄 조직 배후로 프린스 그룹 지목
폭행·감금 등이 빈번하게 일어났던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인근 범죄 단지들.미국 법무부는 이 범죄 단지의 배후로 중국 출신 천즈가 설립한 프린스 그룹을 지목했습다.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범죄 수익 등을 통한 천즈의 자산이 600억 달러, 우리 돈 약 88조 원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중남미 마약왕에 맞먹는 규모라고도 덧붙였다.지난달 ...
울산북부경찰서, 보이스피싱 피해 막은 은행원에 112신고 포상금 수여
[뉴스21일간=김태인 ]울산북부경찰서는보이스피싱 범죄를 사전 차단하여 현금 7천만원 피해를 막은 은행원 박소영씨(과장대리)에게 감사장과 112신고 상금을 수여했다고 13일 밝혔다. 농소농협 본점에 근무하는 해당 은행원은 지난 10월 30일 고객이 적금을 해지하고 다른 계좌로 자금을 이체하려고 하여 자금의 용도를 확인하던 중 원격제어 ...
▲ [이미지 = 픽사베이]소셜미디어(SNS)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조롱하던 미국의 30대 남자가 코로나19에 감염돼 투병하다 숨졌다.
2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코로나19로 투병하던 34세의 미국인 스티븐 하먼이 로스앤젤레스(LA)의 한 병원에서 지난 21일 숨졌다.
하먼은 코로나19에 감염돼 증상 악화로 입원한 이후에도 "집집이 찾아가는 바이든의 백신 '감시자'는 '코비드의 증인'이라고 부를 만 하다. #계속돌아다녀라얼간아"라는 글을 트위터에 올리며 백신 접종을 장려하겠다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계획을 비판했다.
이후 상태가 위중해졌고 그 상황에서도 "아주 조금만 움직여도 심장 박동수가 치솟고 휴대전화 문자를 보내는 것조차 힘에 부친다"며 증상을 전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하먼은 자신이 회복된 뒤에도 백신 주사를 맞지 않겠다고 주장했다.
의료진의 권고에 따라 산소 삽관 치료를 받게 된 하먼은 병상에 누운 자신의 모습을 찍어 SNS에 올리고는 "기관삽관을 하고 산소호흡기를 단다. 언제 깨어날지 모르겠다. 기도해달라"고 적었다.
결국 하먼은 그 글을 끝으로 사흘 뒤 숨을 거뒀다. 사망 소식이 알려진 뒤 그의 소셜미디어 계정은 모두 비공개로 전환됐다.
앞서 종교적 신념에 따라 백신을 거부한다고 밝힌 그는 지난달에는 "내게는 99개의 문제가 있지만, 백신은 문제가 아니다"라고 적었고, 지난 8일에는 "바이든의 (백신) 감독관들은 '자코비드(JaCovid)의 증인'으로 불려야 한다"라고 했다.
하먼의 주치의였던 오린 프리드먼 박사는 "코로나19 입원 환자가 열 배로 늘었다"면서 "코로나19로 입원하는 사실상 모든 환자가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