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밸리에서 개발한 첨단 유기농기술을 농업현장에 적용, 대전을 첨단농업 기술도시로 특화하기 위한 ′첨단벤처 유기농업단지′ 조성 방안이 마련됐다.
대전시는 지난 22일 충남대 농업과학연구소로부터 첨단벤처 유기농업단지 조성 방안 최종보고서(연구책임자 김철호)를 제출받아 구체적인 실행 계획 검토에 들어갔다.
연구소는 보고서에서 유기농단지 조성대상 작목을 쌀, 과수, 채소, 축산 등으로 하고 자연순환식 단지나 녹색체험 및 관광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모형으로 제시했다.
예상 적지로는 유성구 세동을 비롯, 유성구 탑립동, 서구 괴곡동, 동구 직동 등 4곳을 들었으며 유성구 금고동 쓰레기매립장 사용후 공원 조성 이전까지 한시적으로 이용하는 방안도 내놓았다.
적정 규모는 쌀 재배농가를 포함해 10농가 이상 10-20㏊였으며 단지당 2억5천만원을 지원, 유기자원 생산에 필요한 시설장비와 유기농 쌀 생산시설, 환경친화형 비닐하우스 시설 등을 갖출 수 있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관련 기업체는 벤처기업연합을 구성한 뒤 자재 및 사용기술을 제공하고 실증시험포를 운영하며 대전시는 유기농단지 선정과 자금 및 행정지원을 맡고 대학이나 농업기술센터는 단지를 시험연구포나 전국적인 첨단벤처 기술교육장 등으로 활용하는 등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연구소는 밝혔다.
단계별 계획은 시험(2004년)-도입(2005-2006년)-정착(2007-2008년)-완성단계(2009-2010)로 세워졌으며 최종적으로 유기농 녹색체험 및 관광의 복합단지로 조성하고 유기농기술 및 홍보전시장 설치와 녹색체험장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대전시장 직속의 ′농업-생명 산업발전위원회′를 설치해 유기농업단지 조성을 전담하도록 하며 판매와 재정조달 계획 등도 수립하고 집행토록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따른 연도별 재정지원은 국비와 지방비, 자부담, 융자 등을 포함해 2010년까지 10억원이 소요될 것을 추산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