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권 광역상수도에 불소를 투입하느냐를 놓고 80여 전북 시민·사회단체들이 3년째 논란을 벌여왔다. 전북도가 6일 “연내 전주·익산시민 여론조사로 이 사업 시행여부를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도는 “전주권 광역상수도 불소화는 2001년12월 급수구역인 5개 시군 여론조사로 결정했으나 전주·익산 지방정수장 불소화가 병행되지 않으면 실효성이 없다”며 “양 시 자체 정수장 불소화에 대한 여론조사를 통해 광역 불소화를 최종 확정짓겠다”고 밝혔다.
도는 “여론조사는 해당 시가 주체가 되어 그 형식을 결정하며, 조사 결과 반대의사가 많으면 불소화가 백지화된다”고 덧붙였다.
2000년 제정된 구강보건법은 광역정수장의 경우 수자원공사 사장이, 지방정수장은 시장·군수가 공청회나 여론조사를 통해 불소화를 확정토록 정하고 있다.
전북에서는 용담댐이 완공된 2001년 중반 이후 이 사업을 추진해오면서 시민·사회단체들이 양분돼 “충치예방을 위해 필요한 사업으로 세계보건기구가 안전성을 입증했다”,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고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는 강제 의료행위이다”며 찬·반 주장을 펴왔다.
수돗물 불소 투입은 정부 권장으로 81년 경남 진해시에서 시작된 이후 47개 광역·지방정수장에서 이뤄져왔으나, 최근 과천·의왕·청주·포항시에서는 의회가 약품비를 삭감하면서 중단돼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