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문재인 대통령 페이스북 캡처]정부가 추진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두고 정치권에서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가 마련한 백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이미 접종을 시작한 선진국 등에서 부작용이 보고됐고, 또 효과에 대한 논란도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국민적 불안감 해소를 위해 문 대통령을 미롯해 책임있는 보건 수당이 공개적으로 솔선수범하라고 촉구했으며, 청와대는 "국민적 불신이 있다면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조건부 수용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2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백신 공급에 대해서도 아직 명확한 과정이 설명이 안 되고, 백신 효용성 문제도 확실한 설명을 정부가 못하고 있다”며 “누가 제일 먼저 백신 맞는 대상이 될지도 정부가 명확한 설명을 해 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주호영 원내대표도 “외국의 국가 지도자들이 백신 안정성을 위해, 국민 설득을 위해서 빠른 순서로 접종하는 경우가 많지만, 우리는 누가 1호 접종자가 될지 전혀 아직 알 수 없다”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면역률도 문제지만 안정성도 문제가 제기된다”고 거들었다.
이어 “우리 정부가 사용을 허락하고 국민께 접종을 권할 것이면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책임 있는 당국자부터 먼저 접종해서 국민의 백신 불안정을 해소해 달라고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만일 국민적 불신이 있다면 마다할 이유가 없을 것"이라며 "지금 맞겠다는 비율이 90%가 넘게 나와서 방침이 수정되지 않거나 불신이 생기지 않으면 검토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문 대통령도 지난달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백신 접종 불안감 해소를 위해 가장 먼저 백신 접종을 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솔선수범이 필요한 상황이 된다면 저는 그것도 피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26일 요양병원, 요양시설 등의 만 65세 미만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약 27만2000명을 대상으로 첫 접종이 이뤄진다. 같은날에는 화이자 백신 11만7000회분이 도착하며 이 물량은 27일부터 코로나19 환자 치료 의료인들에게 접종된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1순위 접종 대상자들 중 93.8%가 접종에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0시 기준으로 1순위 접종 대상자로 등록된 인원은 총 36만6959명이었으며, 여기서 34만4181명이 예방접종에 동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