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산유발 연간 5천545억원.소득증대효과 3천356억원
이전한 지 5년 반이 돼가는 정부대전청사의 생산 유발효과가 연간 5천억원을 넘는 등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대전청사 공무원들의 75% 가량은 정부 및 산하기관의 추가 지방이전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4일 대전발전연구원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공무원 설문조사와 산업연관분석 자료 등을 토대로 `정부대전청사 이전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부대전청사가 인구증가, 사회간접자본확충, 경제발전 등 경제.사회.문화적으로 대전지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우선 정부대전청사 공무원들은 평균 월급의 81.7%를 금융기관저축, 음.식료품비, 교육비 등의 명목으로 대전시내에서 지출하고 있는데 이에따른 지역내 소비지출 규모는 1천60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정부대전청사의 고용효과는 직접효과(4천246명)와 타산업부문에 미친 간접효과(6천984명)를 합쳐 연간 1만1천230명인 것으로 분석됐다.
대전발전연구원은 이같은 통계를 토대로 정부대전청사의 생산유발효과가 연간 5천545억원, 소득증대효과는 3천356억원, 지역내 총부가가치유발액은 2천882억원에 각각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정부대전청사로 인해 인구유입도 크게 늘어 대전지역의 인구는 정부대전청사 이주가 완료된 98년 134만5천684명에서 2002년 말 142만4천844명으로 7만9천여명이 증가했다.
한편 설문에 응답한 정부대전청사 공무원 600명은 정부대전청사 이전효과로 ▲국가균형발전(43.2%) ▲수도권 인구분산(35.7%) ▲청 단위 기관 집중배치에 따른 업무능률 향상(12.7%) ▲대국민편의 제공(2.8%) 등을 꼽았다.
또 응답자의 74.5%는 정부 및 산하기관의 추가 지방이전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77.8%는 정부 및 산하기관의 지방이전이 수도권 과밀화 해소와 지방균형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분석을 했다.
이밖에 정부대전청사 공무원들의 97.7%가 대전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대전 생활의 장점으로는 ▲출.퇴근시간 감소(57.9%) ▲저렴한 주택가격(16.0%) ▲쾌적한 생활환경(11.4%) 등을 들었다.
대전 이전에 따라 업무에서 느끼는 불편한 점으로는 응답자의 30.7%가 서울로의 출장시간 과다를 지적해 잦은 서울출장으로 인한 업무공백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한편 98년 8월26일 이주를 완료한 정부대전청사에는 철도청 등 12개기관에서 정식 공무원 4천246명과 비정규직 600여명 등 4천800여명의 근무하고 있으며 하루평균 1천187명이 방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