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수출 특화작목으로 보급 중인 접목 선인장 ‘비모란’ 신품종 3종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비모란선인장(Gymnocalycium mihanovichii)은 미국, 네덜란드를 비롯한 세계 16여 개국에 수출, 연간 약 4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리는 효자 화훼 작목이다. 전 세계 유통량의 70% 이상이 우리나라에서 수출된 것으로 이들 수출 물량의 약 71%가 경기도에서 재배됐다.
접목 선인장(Grafted cactus)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만든 품종으로 뿌리와 광합성 역할을 하는 녹색의 대목(臺木)과 꽃 역할을 하는 동그란 모양의 구(球)를 붙여서(접목) 만든 선인장이다. 구의 재료로는 비모란 선인장이 많이 쓰이는데 둥근 모양의 형태에 초록색이 없이 빨간색, 주황색에서부터 검은색까지 다양하다. 몸체 주위에 다음 세대 번식을 위해 필요한 자구가 많이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스스로 광합성을 할 수 없어 반드시 대목이 필요하다.
접목 선인장인 비모란은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쪽이 원산지이지만 붉은색 둥근 선인장의 돌연변이로 엽록소가 거의 없어 스스로는 광합성을 할 수 없기에 녹색의 대목(臺木)인 삼각주선인장(Hylocereus trigonus)에 접목(接木)해 재배하고 있다.
반면 접목에 의한 번식이 반복되면 원래 색이 퇴화하고 접목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선인장 품질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품종 개발과 보급이 중요하다. 이런 이유로 경기도농업기술원은 매년 3개 정도의 신품종을 개발,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접목 선인장 비모란 적색계 ‘레드비’는 선명하고 밝은 빨간색 꽃을 갖고 있다. 꽃 크기가 다소 작지만, 가시 길이가 매우 짧아 선인장 재배 농가의 선호도가 높은 품종이다.
황색계 ‘옐로우비’는 밝은 황색의 원형 모구, 자구에 가시는 적고 연갈색으로 가시 길이가 짧은 품종이다.
주황색계 ‘오렌지비’는 자구 수는 적은 편이나 모구, 자구가 모두 진한 주황색을 띄고 있어 관상 가치가 높아 수출국 시장 선호도가 우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선이 농기원 선인장 다육식물연구소장은 “올해는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주 수출국인 유럽과 미국 등과의 무역이 한때 중단되는 것을 보면서 신품종 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커졌다”며, “생산자 및 수출단체와의 지속 협력을 통해 해외뿐 아니라 국내 소비자도 선호할 수 있는 다양한 접목 선인장을 개발해 농가소득 증대와 수출 확대에 더욱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