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14일 열린 아세안+3 특별 화상 정상회의에 참석해 코로나19 대응 공조 방안과 사회‧경제적인 부정적 영향 최소화 방안을 논의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이날 회의는 아세안 10개국인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정상들을 비롯해 아세안 사무총장 및 WHO 사무총장, 그리고 한‧중‧일 정상이 함께했다.
이 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아세안+3 의장국인 베트남 푹 총리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된 모두 발언에서 "세계 인구와 경제의 30%를 차지하는 아세안+3은 서로 밀접한 연대와 교류로 연결돼 있는 운명 공동체"라며 "그동안 위기와 기회를 함께 나눠 왔듯, 이번 코로나19 위기도 함께 극복해 나가기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진 의제발언에서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3대 원칙(개방성, 투명성, 민주성)을 언급하고 '긴급 사용승인 제도', '드라이브 스루', '워크 스루' 등의 창의적인 방법을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감염병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민이 방역의 주체가 돼야 한다”며 “국민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방역과 의료 물품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적기에 제공될 수 있도록 역내 양자, 다자 차원 적극 협력 △각국의 축적된 방역 정보와 임상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공유·활용 △경제·인적 교류 등 필수적인 흐름을 유지 등 3가지 공조 방안을 제안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세계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제 교류, 인적 교류, 무역과 투자, 식량물자의 필수적인 흐름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최근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코로나19'로 인한 취약 지역의 식량 위기 가능성을 경고했다.
그러면서 "식량 위기가 도래한다면 취약 계층은 지금보다 더한 위협에 처하게 될 것"이라며 "아시아 각국은 개별 국가들의 식량 수출 제한을 자제해야 하며, 식량 공급망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또 "지난 2012년 출범한 '아세안+3 비상용 쌀 비축제도'가 언제라도 적시에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서도 "오늘 좋은 방안들이 많이 제안되었는데, 정상선언문에서 언급된 ‘의료물품 비축제도’ 신설, ‘코로나19 아세안 대응기금’ 설립 등을 포함하여 여러 협력 구상들이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장관급 및 SOM(솜,고위실무급) 협의체에 구체적인 후속 임무를 부여하여 점검해 나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상들의 협의와 약속이 국제사회의 코로나19 종식 노력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면서 "한국은 올해 아세안+3 조정국이자 한중일 3국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동아시아 역내 공조와 연대를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정상 여러분, 아세안+3는 중요한 도전의 순간마다 협력을 통해 위기를 극복했다"면서 "한국은 ‘코로나19’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회원국들과 기꺼이 협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