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를 직격탄으로 맞은 저비용항공사(LCC) 대표들이 정부에 조건 없는 긴급 금융지원을 요청했다.
제주항공과 진에어,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에어서울, 에어부산 등 LCC 6곳 사장단은 지난 27일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극복위한 공동긴급건의문'을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건의문에는 "지금 LCC는 작년 일본 불매 운동에 이은 코로나19 사태로 절체절명의 벼랑 끝에 서 있다"며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다시 한 번 정부의 전향적인 지원을 간곡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LCC 사장단은 "항공산업은 일반 산업과 달리 이윤추구에 앞서 국민의 편의와 공공성을 우선하는 국가 기간산업"이라며 "관광, 숙박 등 서비스 및 물류에서 항공기 정비에 이르기까지 연관 산업으로 이어지는 경제 고리의 시발점으로 국가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실로 막대하다"고 호소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7일 항공사에 최대 3000억원 규모의 긴급 대출과 공항사용료 3개월 납부 유예 등을 포함한 긴급 지원책을 내놨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책의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한 LCC 사장단은 전날 서울에서 회의를 열고 긴급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LCC 사장단은 정부가 무담보·장기 저리 등 조건을 대폭 완화한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에 나서 줄 것을 촉구했다.
사장단은 "현재 정부가 제시한 공항사용료 등 각종 비용지원은 감면이 아닌 납부 유예로 실질적 지원이 못 된다"며 "이에 대한 전면 감면 조치를 시행하고 추가로 항공기 재산세와 항공유 수입 관세 등 각종 세금을 감면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부채비율이 높은 항공사의 구조상 누적된 적자가 반영된 현 시점에서 시중은행 상품을 통한 자금조달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즉각적인 유동성 개선을 위한 자금조달이 가능하도록 지원 조건 대폭 완화하고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고용유지지원금 비율의 한시적 인상도 요청했다. 사장단은 "운항 노선 축소로 인한 휴직 인원 발생이 불가피함에 따라 항공사 근로자의 휴업수당에 지원되는 고용유지지원금 비율을 현행 50%에서 70%수준으로 한시적으로 인상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LCC 사장단은 "항공사들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선 운휴, 자산 매각, 비용 절감 등의 자구노력을 하고 있고 1만명 이상의 항공사 임직원이 절박한 심정으로 임금 반납, 휴직 등 고통 분담에 동참하고 있다"며 "하지만 지금의 국가적 재난은 항공사만의 자체 노력으로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정부의 지원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