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미래세대의 비전을 키우다: 우정초등학교, '평화통일 퀴즈대회' 성황리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민족통일 울산시협의회(회장 이정민)는 2025년 11월 14일(금) 오전 10시, 울산 우정초등학교 승죽관에서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화통일 퀴즈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미래 통일 주역인 학생들에게 올바른 통일관과 역사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회에는 이정민 회장과 이학박사 박성배...
▲ [사진제공 = 김해시]김해시는 환경부의 투명 페트(PET) 별도배출 시범사업지에 선정돼 다음달부터 투명 페트병을 유색 페트병, 플라스틱류와 분리해 배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공동주택은 투명 페트 별도 수거함에 배출하고 유색 페트는 기타 플라스틱류와 함께 배출하면 된다. 상가나 단독주택은 투명 페트만 따로 투명봉투에 담아 배출하면 된다.
환경부는 페트병 재활용체계 개선을 위해 김해와 서울, 부산, 제주, 천안 전국 5개 지자체를 시범사업지로 선정했다. 경남은 김해시가 유일하다.
이에 따라 김해시는 국비 1억1000만원을 포함한 전체 사업비 2억2000만원을 들여 올 한해 투명 페트병을 별도 배출하도록 홍보하고 수거해 투명 페트 재활용률을 높인다.
국내 페트병 재활용률은 높은 편이지만 유색, 라벨 혼합으로 재활용 효율이 낮은 저품질이어서 해외에서 고품질의 페트를 수입해 재활용하고 있다.
고품질의 페트는 시트(Sheet), 페트병 재생산, 의류용 장섬유 등으로 재활용되며 국내 페트 재활용률을 보면 고품질은 17%에 불과하고 나머지 83%를 차지하는 중·저품질 페트는 노끈, 단섬유 등으로 재활용된다.
허성곤 시장은 “투명 페트병 별도배출 시범사업을 통해 깨끗한 김해, 자원순환도시 김해로 나아갈 수 있도록 56만 시민 모두 적극 동참해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