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전국 최조로 미세먼지 집중관리 구역으로 지정됐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2일 서울특별시(시장 박원순) 25개 자치구 중 금천·영등포·동작구 3곳을 우선적으로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을 지정한다고 밝혔다.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은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2조에 따라 각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이 지정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 취약계층의 건강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안심구역을 말한다.
서울시는 지정된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에 대해 지역주민인 체감할 수 있고 실효성 있는 다양한 미세먼지 저감·보호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서울시는 우선, 미세먼지 취약계층의 고농도 미세먼지 노출을 줄이기 위한 환기기기 설치하고 지능형 공기세척실(스마트 에어샤워실) 및 식물벽 조성 등의 주민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날림먼지 발생사업장 지도·점검을 강화하고,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설치 및 사물인터넷(IoT)을 통한 측정, 대기배출사업장 방지시설 설치 지원, 자동차 배출가스 및 공회전 집중단속, 도로 살수차 운영 강화 등도 추진한다.
서울시는 해당 자치구와 함께 집중관리구역 유형별로 맞춤형 지원· 관리 세부방안을 이달 중으로 확정·시행할 예정이다.
한편, 환경부는 서울시를 시작으로 올해 3월까지 전국 17개 시도별로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을 1곳 이상 지정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어린이 통학용 경유 차량을 액화석유가스(LPG) 차량으로 교체하는 사업 등 각종 국고지원 사업을 최우선 지원하는 등 집중관리구역에 혜택을 주기로 했다.
김의승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전국 최초로 지정한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에서 지역 특성에 맞게 맞춤형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금한승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정·관리가 대표적인 국민 체감형 미세먼지 대책사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며 "별도 예산확보 등 사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