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구호 단체는 7일, 10월 하순 북한 동해안을 강타한 폭풍우로 7,3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지만, 조기경보체제를 적시 활용하여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국제 적십자사는 성명에서 10월 21일부터 23일 사이 해일을 동반한 폭풍우가 북한의 강원도를 강타해 집 732 채는 파괴하고 366채는 홍수 피해를 입었다고 발표했다. 적십자사는 하지만, 폭풍우 이틀 전 가동된 조기경보체제 덕분에 주민들이 이미 대피한 상태여서 부상자는 14명에 그쳤다고 밝혔다. 적십자사는 자원봉사자 235명을 피해 지역에 동원했고, 정수도구, 주방도구, 담요 등 생필품 상자 640개를 주민들에게 나눠 주었다고 밝혔다. 이처럼 폭풍우에 대한 보고가 늦는 경우는 종종 있는 일인데, 이는 북한이 모든 정보를 엄격히 통제하고 있고, 북한에는 민영 언론사가 없기 때문이다. 얍 팀메르 북한 적십자사 대표는 피해지역에서 이미 복구와 수리 작업이 시작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외부 요원들이 피해지역을 방문하진 않았지만, 장비도 충분하고, 지역 당국이 상황에 잘 대처하고 있다며, 그저 "작은 재해"라고 말했다. 얍 팀메르 대표는 AP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적십자사는 점점 효과적으로 구호 활동을 펴고 있다. 외부 도움이 필요 없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팀메르 대표는 종종 홍수와 다른 자연재해의 피해를 받는 북한에서 국제 구호전문가들이 지난 수년간 이런 사태에 대비해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고, 북한이 최근 재해에 대해서는 비교적 정보 제공을 꺼려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제야 일이 잘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7월 중순, 중부를 강타한 홍수로 인해 수백 명이 사망하고 많은 도로와 다리가 유실되었다고 추측되고 있다. 남한의 정보 기관은 사망자와 실종자를 합하면 800명 내지 900명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북한 정부는 정확한 피해 상황을 제공하지 않았고, 국제 구호 단체의 피해 지역 방문도 금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