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미사일·6자회담 관련 북 현명한 판단 기대”
부산에서 열린 제19차 남북장관급회담이 북한 미사일과 6자회담 복귀 문제 등에 대해 남북 간의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13일 오후 조기 종결됐다. 13일 제19차 남북장관급회담이 예상보다 일찍 종결된 가운데 조기철수를 결정한 북한 대표단이 이날 오후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고려항공을 타고 귀국길에 오르고 있다. 남북은 회담 사흘째인 이날 오전 10시 40분부터 숙소인 부산 웨스틴조선호텔에서 북측 요청으로 수석대표 접촉을 가졌지만 핵심 쟁점에서 양측 간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해 오후 2시 30분 종결회의를 열고 이번 회담을 조기에 마무리했다. 애초 오후 5시로 예정됐던 종결회의가 2시간여 앞당겨 열린 것은 오전 수석대표 접촉에서 북측이 쌀 차관을 받기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추가 논의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보이며 종결회의를 갖자고 제의한데 따른 것이다. 우리 측도 미사일 문제와 6자회담 복귀에 대한 입장을 수 차례 전달한 상황을 감안해 종결회의에 동의했다. 우리 측은 북측의 쌀 차관 50만t 요구와 관련, 이번 회담 기간에 미사일 문제의 출구가 마련될 때까지 쌀 차관에 대한 논의를 유보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북측은 이날 종결회의 때 배포한 성명을 통해 “북남상급(장관급)회담은 결코 군사회담이 아니며 6자회담은 더욱 아니다”며 우리 측이 제기한 의제에 불만을 표시한 뒤 “일정에 관계없이 철수한 책임은 전적으로 남측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우리 측 수석대표인 이종석 통일부 장관은 “서로의 입장을 존중하고 상대방의 발언을 귀담아 듣는 것이 도리”라며 북측이 사전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성명을 발표한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우리 측 회담 대변인인 이관세 통일부 정책홍보실장은 종결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북한의 6자회담 복귀에 대한 명확한 답을 이끌어내지는 못했지만 미사일 문제에 대한 우리 및 국제사회의 우려와 그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조속 복귀 필요성에 대해 북측에 설명하고 상황 타개를 위한 노력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이번 회담의 의미를 평가했다. 이 실장은 “우리의 입장이 북측 지도부에게 전달된 것으로 알고 있으며 북측이 귀환해 이에 대해 심사숙고해 현명한 판단을 내리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남북 간 이견차이로 남북장관급회담이 조기종결됨에 따라 양측은 공동보도문을 내지 못했고 차기 회담 날짜도 잡지 못했다. 장관급회담에서 공동보도문이 나오지 않은 것은 2001년 11월 제6차 회담에 이어 두 번째이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그러나 "북측에 미사일 문제와 6자회담 복귀를 촉구하면서도 대화를 단절하지 않기 위해서 이번 회담을 개최한 것이며 이번 장관급회담 결과는 예상범위 내에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측이 제기한 주요 의제에 대해 북측과 합의를 보지는 못했지만 장관급회담을 통해 남북 간 대화채널이 유지되고 있음을 입증한데서 이번 회담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북측 대표단은 이날 오후 3시 25분께 숙소를 떠나 오후 4시 40분 김해공항을 이륙해 평양으로 돌아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