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군사당국자들은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18일까지 열린 4차 장성급 회담에서 철도ㆍ도로 통행을 위한 군사보장합의서 체결 문제와 서해상 불가침경계선 설정 문제 등을 두고 협의를 벌였으나 끝내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남북은 공동보도문은 물론 차기 장성급 회담이나 군사실무회담의 일정도 잡지 못해 회담은 사실상 결렬됐다. 남측 수석대표인 국방부 문성묵 북한정책팀장은 회담 직후 “북측은 장성급 회담에서 서해상 불가침경계선 설정 문제만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 양측의 입장을 좁힐 수 없었다”고 밝혔다. 양측은 회담 종료 직전 공동보도문 작성을 시도했지만 보도문에 담을 내용을 둘러싸고 서로의 입장 차이만 확인, 보도문 발표도 무산됐다. 남측은 마지막 날 회의에서 경의선ㆍ동해선의 임시운행이 25일로 임박한 만큼 철도ㆍ도로통행 운행을 위한 군사적 보장합의서 채택을 촉구했다. 또 서해상의 충돌방지를 위한 개선조치 및 공동어로수역 설정 등 서해상의 평화정착 방안을 본격 협의할 것을 제의했다. 하지만 북측은 서해상 불가침경계 설정 문제 이외에는 협의할 수 없다는 기본입장만 되풀이했다. 철도ㆍ도로 통행을 위한 군사보장합의서 채택에 대해서는 실무회담에서 논의할 사안이라는 이유로 협의에 응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남측은 경의선ㆍ동해선의 임시운행 직전에 이를 논의하기 위한 회담을 제기하겠다고 북측에 통보, 추가 실무회담의 여지를 남겼다. 이와 관련 문 팀장은 “북측도 시험운행을 위한 사전조치가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고 있어 시험운행이 차질을 빚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