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장관급회담 우리측 제의…공동보도문 조율 중
제18차 남북장관급회담을 종결하는 공동보도문 발표에 앞서 남북이 이견조율을 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측 대표단은 23일 “납북자와 특수한 상황에 있던 국군포로를 상봉·송환할 때 장기수를 포함할 용의가 있다고 북측에 제안했다”고 밝혔다. 우리측 회담 고위관계자는 이날 “그 사람들도 생사확인부터 상봉, 송환 단계를 밟아 같이 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아무튼 그 범주에서 같이 풀어갈 용의가 있다고 제안했다”고 말했다. 이 제안은 우리측 수석대표인 이종석 통일부 장관이 지난 22일 기조연설에서 납북자·국군포로 문제와 관련해 “화해와 협력, 공존과 공영의 새로운 역사를 열기 위해선 불행했던 과거를 청산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북측이 대범한 조치를 취하면 우리측도 상응한 협력의 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 장관은 이날 “분단이 초래한 비극적 고통을 해소해 가는 과정에서 그 어떤 것보다도 국군포로 및 전쟁시기 이후 소식을 알 수 없는 사람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우리측이 납북자·국군포로와 장기수 송환을 연계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이는 우리측이 그동안 밝혀온 납북자 송환과 대북지원 연계를 북측이 명분있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게 우리측 관계자의 설명이다. 남북은 당초 24일 오전 10시 종결회의를 갖고 오후 3시 평양을 출발할 예정이었으나 공동보도문 조율과정으로 인해 대표단 일정이 다소 늦춰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측은 이번 회담에서 △납북자·국군포로 송환문제를 포함해 △한강하구 공동이용 △함경남도 단천 지역의 ‘민족공동자원개발’ 특구 지정 △이산가족 영상물 교환 등을 제안했다. 이에 북측은 △참관지 자유방문 △한미 합동군사연습 중지 △지역 업종 규모에 제한 없는 투자·협력 △당국 대표단이 주도하는 6·15행사 △독도 문제에 대한 대일 공동대응 등을 제시했다. 이종석 장관은 23일 브리핑에서 “회담 전망은 낙관도 비관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그러나 기조발언에서 보듯 서로가 이번 회담에서 바라는 바가 워낙 차이가 있다”고 말해 공동보도문 조율과정이 쉽지 않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한편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북 문제와 관련, 우리측 회담 고위 관계자는 “(북측에) 답변을 요청했지만 아직까지 답이 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인 납북자 요코다 메구미의 남편일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 납북자 김영남 씨 문제를 거론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답을 피한 채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눴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