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계출산율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제 비교 기준으로도 활용되는 출산율 지표를 보면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선 여성 1명이 평생 아이를 한 명도 안 낳는 것으로 집계된 유일한 나라다.
처음으로 20대 후반 출산율이 30대 후반보다 낮아졌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20대 후반이 30대 후반의 3배를 웃돌았다.
평균 출산 나이는 32.8세로 전년보다 0.2세 상승했다. 평균 출산 나이는 첫째 아이는 31.9세, 둘째 아이는 33.6세, 셋째 아이는 35.1세로 전년보다 0.2~0.3세 늘었다.
박영범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출산율 하락은 인구가 감소해 생산ㆍ소비가 줄고, 경제가 위축될 뿐 아니라 고용과 재정ㆍ복지 등 국가 정책 다방면에 충격을 안겨준다”며 “말 그대로 범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와 함께 다른 저출산 국가처럼 외국인 노동자, 이민자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받아들일지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