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균관 의대 이명식 교수팀...미 국립과학원 회보에 게재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과학기술부는 30일 “성균관 의대 삼성서울병원 이명식 교수 연구팀이 세포 내의 단백질 발현 조절인자의 하나인 ‘NF-κB’란 물질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소도세포’의 사멸을 막는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발표했다.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로 혈당을 낮추는 췌장소도세포가 ‘사이토카인(cytokine)’이라는 단백질에 의해 파괴될 경우 발병한다. 따라서 사이토카인에 의해 췌장소도세포가 파괴되는 것을 막는 방법이 당뇨법 치료제 개발의 열쇠였다. 이에 전 세계 연구진들이 20여 년 동안 췌장소도세포의 사멸과정에서 ‘NF-κB’의 역할에 관한 연구를 해왔으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고 치료제 개발에 대해서도 혼선이 계속돼왔다.이 교수팀은 NF-κB와 이 세포의 활성인자인 ‘IKK’를 발견한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주립대(UCSD)의 마이클 카린 박사와 5년간의 공동 연구 끝에 NF-κB가 췌장소도세포의 사멸을 막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연구팀은 생체 밖의 세포실험과 유전자 결손 생쥐, 형질 전환 생쥐를 이용한 생체 내 실험을 통해 췌장소도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는 과기부의 21세기 프런티어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이뤄졌으며 연구논문은 30일자 미국 국립과학원(PNAS) 인터넷판에 게재됐다.용어설명: 췌장소도세포=인슐린을 분비하여 혈당을 낮추는 세포로 β세포가 췌장소도세포의 대부분을 차지함. NF-κB (엔에프 카파 비)=세포내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조절인자의 하나로 염증 반응과 세포 사멸에 결정적 역할을 함.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