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2025년 시민안전 민․관 학술 토론회 개최
[뉴스21일간=김태인 ]울산시는 울산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과 함께 17일 오후 2시 문수컨벤션 다이아몬드룸에서 ‘2025년 시민안전 민·관 학술 토론회(심포지엄)’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날 토론회(심포지엄)는 울산시를 비롯해 안전 관련 공공기관, 전문가, 시민단체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행사는 개회식을 시작으로 안전 분야별 전...
▲ (사진=인천광역시청)인천시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스마트 로봇산업을 적극 키운다.
인천시(시장 박남춘)와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원장 서병조)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기업의 협동로봇 도입을 지원하고, 로봇창업의 거점인 로봇비즈니스센터를 개소하는 등 기반을 강화해 스마트 로봇산업 선도도시로 한 단계 더 도약했다.
청라로봇랜드에 조성된 로봇타워에는 55개의 로봇기업과 기관이 둥지를 틀고 있으며, 지난 9월 새롭게 입주한 서울대학교 예술과학센터는 로봇산업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콘텐츠로 공연용 로봇인 드럼로봇 개발에 성공해 로봇타워 1층에서 시민들에게 로봇과 예술의 조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올해도 인천시는 협동로봇 지원 사업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며, 기업 당 1백만원을 증액해 2천5백만원을 지원하고, 수요기업도 10개에서 11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협동로봇은 사람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첨단로봇으로 주로 제조분야에서 작업자와 함께 반복적인 공정 등에 활용된다. 협동 로봇은 기본적으로 펜스 없이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전자, 물류산업뿐 아니라 서비스업체, 식음료 업체 등도 로봇을 도입해 제조 및 서비스의 생산성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수요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최근 한화테크윈, 두산로보틱스, 로보스타, 뉴로메카 등 국내 로봇기업도 협동로봇 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다.
신남식 신성장산업과장은 “인천시는 지난해까지 로봇기업 집적시설인 로봇타워에 55개의 로봇기업(기관)을 유치하고, 로봇비즈니스지원센터와 체험관을 개소하는 등 로봇 창업 기업의 성장지원과 로봇 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며 “로봇랜드를 기반으로 로봇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고, 인천의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은 물론 시민들이 로봇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