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지난 10월 31일부터 11월 14일까지 영산강 승촌보와 죽산보를 완전개방하여 그 결과를 관측(이하 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승촌보는 올해 3월 20일부터 점진적으로 개방하여 4월 6일부터 완전 개방상태를 유지하다가 수막재배가 시작되는 기간인 11월 15일부터 목표수위(E.L 6.0m)까지 회복됐다.
죽산보는 작년 6월부터 부분 개방한 이후, 올해 10월 31일부터 완전개방 상태(E.L -1.35m)를 유지하고 있으며, 양수장 가동이 시작되는 내년 3월까지 현 수위가 유지될 예정이다.
보 개방 이후 물의 흐름은 체류시간이 평균 7.3~20.1일에서 2.4~3.3일로 크게 감소(67.1~83.6%)하고, 유속도 1.9~3.4cm/s에서 11.0~13.8cm/s으로 큰 폭으로 증가(306~479%)하는 등 대폭 개선됐다.
특히 이번 개방으로 수계 전체에 모래톱 0.164km2(축구장 면적 약 23배)이 발생했으며, 수변공간도 28.9% 증가(2.378km2, 축구장 면적 약 333배)하는 등 개방 수계 중 가장 넓은 노출지가 나타났다.
또한, 완전개방 시 전 구간에서 유수성이 회복되었던 승촌보와는 달리 죽산보는 하구둑 수위 영향으로 보 하류 일부(1/3) 구간까지만 유수성이 회복되어 한계가 있었다.
수변생태 공간이 넓어지고, 여울, 웅덩이 등이 형성되면서 다양한 물새류와 맹꽁이, 삵, 수달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들의 서식환경이 개선됐다.
또한 영산강 수계 완전개방 이후, 전월(10월) 대비 텃새화된 물새류 개체수는 68마리에서 126마리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환경부는 향후 보 개방에 따른 보다 더 정확한 수질변화 분석을 위해 개방기간을 확대하고, 비점오염물질의 유입, 지류 하천과의 영향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할 예정이다.
또한 죽산보 개방 시에는 관계기관(한국수자원공사 구제작업단, 영산강유역청 환경지킴이)이 합동으로 생태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어패류 구제 작업에 총력을 기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