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68%가 하루 1시간 이상 게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들의 `게임 후유증'이 우려된다.병원 전문 컨설팅업체 `닥터PR'은 강서제일병원과 예송이비인후과 수면센터의 의뢰로 어린이날을 맞아 지난달 23~30일 서울과 경기 지역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의 어린이 9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77명(68%)이 `하루 한 시간 이상 게임을 한다'고 답했다고 4일 밝혔다.1~2시간 게임을 한다는 응답자가 36%로 가장 많았고 2~3시간이 23%, 3~4시간이 4%, 4~5시간이 3%, 5~6시간이 1%, 6~7시간이 1%로 나타났다.주로 게임을 하는 시간대는 `주말'이 44%, `주말과 평일 저녁' 42%이며 `아침 등교 전부터 언제나'라는 응답도 4%나 돼 어린이들의 게임 중독 현상이 심각했다.특히 잠을 자다 `자주 악몽에 놀라 깬다'는 응답자가 18%, `가끔 깬다'는 응답자가 24%, `꿈꾸지 않아도 잠에서 깬다'는 응답자가 9% 였다.조사대상 어린이들은 ▲ 설명할 수 없지만 기분나쁜 꿈(27%) ▲ 공포스러운 악몽(18%) ▲ 게임과 관련된 꿈(7%) ▲ 총,칼 등 무기가 나오는 꿈(4%) ▲ 피가 나오거나 잔인한 꿈(4%) 등 게임 잔상으로 인해 나쁜 꿈을 꾸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또한 게임을 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게임 도중에 통증을 느낀다는 응답자가 44%에 이르렀고 10%는 `매우 심한 통증'을 느낀다고 호소했다.게임 때문에 가장 불편한 신체 부위로는 응답자 23%가 `어깨부터 손목'을, 21%는 `허리와 엉덩이'를 각각 꼽았다.그러나 부모님이 게임 이용을 제한한다는 응답은 19%에 불과했고 `전혀 제한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45%에 달해 게임에 대한 가정 지도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강서제일병원 송상호 원장은 "성장기 어린이들이 장시간 게임을 즐기면 손목이나 허리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전문가들은 게임으로 인한 수면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 사이버머니를 쌓는 등 중독성 있는 게임을 제한하고 ▲ 게임에 중독된 경우 정신과 치료를 받고 ▲ 침실과 오락기ㆍ컴퓨터 사용 공간을 분리하고 ▲ PC나 TV 등의 사용은 수면 3~4시간 전으로 제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연합뉴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