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 중복 사용·그림 편집 등 닮은꼴...정부지원 프로젝트 논문도 포함 가능성
정부가 지원하는 대규모 생명과학 연구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H교수가 데이터 중복 사용 등의 연구윤리 위반 혐의로 대학 징계위원회에 회부돼 생명과학계에서 ‘황우석 사태’의 악몽이 재연되고 있다.국내 소화기내과계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베스트 중견의사’로 언론에 소개되기도 했던 H교수는 헬리코박터균에 대한 활발한 연구로 유명세를 탄 ‘스타급’ 교수여서 학계에 더 큰 충격을 주고 있다.아주대는 24일 “‘간 및 소화기질환 유전체 연구센터’의 센터장인 H교수가 논문 데이터 중복 사용 등의 연구윤리 위반 혐의로 징계위에 회부했다”고 밝혔다.이 대학 의과대학은 지난해 6월께 내부 제보를 통해 자체 진상조사를 벌인 결과, H교수가 ▲고의적인 그림 편집 사용 ▲여러 편의 논문에서 같은 실험 데이터 중복 사용 ▲데이터의 표기 변형 등 연구윤리를 위반한 사실을 확인했다.아주대는 이 같은 의대의 의견을 받아들여 H교수를 센터장에서 보직해임한 뒤, 해임 등 징계 수위를 결정하기 위해 곧 징계위원회를 소집할 예정이다.H교수에 대한 징계 수위를 건의하기 위해 열린 의대 인사위원회에서 전체 참석자 10명 가운데 9명이 파면 또는 해임을 건의할 정도로 H교수의 연구윤리 위반 정도는 심각한 것으로 전해졌다.◆복지부 연구비 지원 중단이번에 문제가 불거진 H교수의 논문 중에는 매년 5억원 안팎의 정부출연금이 지원되는 ‘간 및 소화기질환 유전체 연구센터’의 연구성과 일환으로 내놓은 논문도 일부 포함됐을 가능성이 커 주무 부서인 보건복지부가 자체 조사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아주대로부터 H교수 관련 통보를 받고 연구비 지원을 중단하는 한편 지난 2001년 이후 진행된 프로젝트 결과물에도 문제가 있는지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H교수가 주도한 ‘간 및 소화기질환 유전체 연구센터’는 지난 2001년 복지부 지정 연구소로 출범한 이후 매년 5억원 안팎씩 모두 24억7000여만원의 정부출연금을 탔으며 민간기업의 별도 후원도 받고 있다.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H교수는 “복지부의 연구비 지원 사업과 관련 없는 논문 5편 정도에 대해 지적받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관점에 따른 해석상의 문제에서 불거진 오해라고 생각해 징계위원회에 나가 결백함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