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는 7월 IT수출은 전반적인 수출단가 하락, 휴대폰 수출 회복 지연에도 불구하고 전년동월 대비 3.5% 증가한 86억 4,000만 달러를 기록한 반면, IT수입은 7.6%, 47억 7,000만 달러 증가해 IT무역수지는 38억 7,0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고 2일 발표했다. 주요 품목별로는 디스플레이 패널, 반도체, 디지털 TV의 수출이 증가한 반면, 휴대폰 수출은 소폭 감소하였다. 반도체 수출은 Logic(6억 1,000만 달러, 11.5% 증가), MCP(3억 달러, 147.9% 증가) 등의 수출 호조와 D램(7억 3,000만 달러, 10.5% 증가)의 수출 회복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6.6% 증가한 29억2,00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동통신단말(부분품 포함)은 프리미엄 시장의 성장 지연으로 대미(3억 4,000만 달러, 15.2% 감소), 대EU 수출(5억 1,000만 달러, 16.4% 감소)은 감소세였으나, 브라질(1억 달러, 14.0% 증가), 인도(8,000만 달러, 12.4% 증가), 멕시코(7,000만 달러, 174.8% 증가), 헝가리(3,000만 달러, 51.4% 증가) 등 신흥시장에 대한 수출이 두자리수 이상 증가세를 시현해 향후 수출 회복에 대한 기대를 보였다. 패널은 대형 LCD TV용 수요 확대로 전년동월 대비 16.7% 증가한 10억 1,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지난해 8월 이후 12개월 연속 10억 달러 이상의 수출실적을 이어갔다. 디지털 TV는 SET 수출보다 멕시코(38.0% 증가), 폴란드(278.1% 증가), 중국(33.2% 증가) 등 해외생산을 위한 부분품 수출 확대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34.1% 증가한 6.3억 달러 수출을 기록하고 2월부터 6개월 연속 두자리수 수출증가를 보였으며, 월간 수출실적으로는 사상최초로 6억 달러를 돌파하였다. 주요 국가별 수출실적으로 대중국(홍콩 포함) 수출은 증가하였으나 미국, EU, 일본에 대한 수출은 휴대폰 및 패널 수출의 부진 속에 각각 감소하였다. 대중국 수출은 중국의 고도성장이 지속되면서 휴대폰(9.7% 증가), 반도체(1.9% 증가), 패널(5.0% 증가) 성장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1.8% 증가한 30억6,00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다만 전년의 높은 수출 증가(32.8%)에 따른 통계효과로 성장률은 한자리수로 둔화되었다. 대EU 수출은 패널(1억 8,000만 달러, 64.7% 증가)이 호조를 보인 반면, 경쟁심화를 겪고있는 이동통신단말(5억 1,000만 달러, 16.4% 감소)의 수출 감소로 전년동월 대비 5.1% 감소한 13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대미 수출은 디스플레이 패널(7,000만 달러, 47.5% 증가), 디지털 TV(3,000만 달러, 67.6% 증가)의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반도체(2억 9,000만 달러, 10.5% 감소), 휴대폰(3억 4,000만 달러, 15.2% 감소)이 감소해 전년동월 대비 4.6% 감소한 9억 8,000민 달러를 기록하였다. 대일 수출의 경우 반도체(3억 1,000만 달러, 10.6% 증가), 휴대폰(2,000만 달러, 224.6% 증가), 저장장치(2,000만 달러, 20.5% 증가) 등의 수출은 증가했으나, 패널(4,000만 달러, 71.9% 감소) 수출 감소로 전년동월 대비 12.5% 감소한 5억 1,000만 달러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한편 7월 국내 IT수출은 IT제품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휴대폰 수출 감소로 성장률은 상대적으로 완만한 3.5%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하반기에는 휴대폰의 경우 삼성전자의 울트라 에디션, LG전자의 초콜릿폰 등의 신제품이 해외에서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어 수출 회복이 예상되며, 미국·유럽 등의 신학기 수요·추수감사절·크리스마스 등의 계절적 특수가 이어져 본격적인 IT수출 증가가 기대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