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올 지능기반사회(u-Korea)에 대비한 중장기 정보보호 기본전략이 마련된다. 정보통신부는 지난 13일 김창곤 차관 주재로 국정원, 행정자치부, 기무사 등 관계부처와 산학연 전문가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보보호 기본전략 수립 보고회의(u-Secure Korea 2007)'를 열어 u-Korea 조기 실현을 위한 정보보호 중장기 기본전략을 범국가적으로 수립 추진키로 했다. u-Korea 대비 정보보호 기본전략 마련을 위한 회의가 지난 13일 관계부처 및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정통부 회의실에서 열렸다. 정통부는 이를 위해 범부처적 민·관 협력 체제 구축과 공감대 형성을 위해 정통부장관이 주재하는 정보보호전략협의회와 이를 실무적으로 뒷받침하는 전략실무회의를 구성하고 5개 분야별 연구반을 운영키로 했다. 분야별 연구반은 네트워크 인프라보호 연구반, RFID/USN 정보보호 연구반, IT서비스 및 디바이스 보호반, 정보보호 법·제도 연구반, 정보보호산업 및 보호문화 연구반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정보보호 기본전략 수립 보고회를 주재하고 있는 김창곤 정통부차관 김 차관은 이 자리에서 “IT839 전략의 성공적인 추진과 지능기반사회의 조기 실현을 위해서는 정보보호문제가 먼저 선결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므로 다방면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다양한 시각에서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번에 착수하게 될 중장기 정보보호전략은 지난 6월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u-Korea 추진전략 보고회’를 통해 제시했듯이 u-Korea가 제대로 실현되려면 네트워크 인프라의 안정성 확보와 첨단 IT기기의 보호, 개인정보 유출방지 등을 위한 범국가적 추진체계 구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참석자들은 IT839 전략 각 사업에 대한 위협요소를 분석하고 대응하기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공감하고 관계부처 등 처음부터 전략수립 연구반에 참여를 확대해 내실있고 실효성 있는 전략이 수립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이번에 수립하게 될 중장기 정보보호 기본전략은 내년 2월중 공청회를 통해 발표한 후 상반기중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에 상정 의결해 범정부 계획으로 확정할 방침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