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인천광역시청)인천시(시장 박남춘)가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를 운영하는 등 멸종위기의 야생동물 보호와 야생 생태계 보호에 힘쓰고 있다.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3월 말 문을 연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연수구 송도국제대로 372번길 21, 솔찬공원 내)가 개관 150일을 맞았다”며 “8월 20일까지 총 138마리의 야생동물을 구조·치료했으며, 이 중 57마리가 무사히 치료를 받고 자연의 품으로 돌아갔다”고 밝혔다.
센터에서 그동안 치료한 야생동물은 조류가 31종 127마리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포유류 3종 10마리, 파충류 1종 1마리였다. 여기에는 저어새 등 환경부가 지정한 국내 멸종위기 야생생물 8마리와 천연기념물 50마리가 포함돼 있다. 특히 자연으로 돌아간 57마리 중 37마리는 천연기념물 또는 멸종위기종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운영으로 야생동물의 구조와 치료, 재활 그리고 자연복귀까지의 체계가 갖춰져 구조된 동물이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 생태계를 지키는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야생동물센터 운영 이전에는 군·구가 지정한 동물병원이나 민간기관에서 야생동물의 구조와 치료를 전담했으나 야생동물을 위한 전문 시설이 아니기 때문에 일차적인 치료 외 지속적인 관리가 사실상 어려웠다.
이에 시는 멸종위기 동물이나 천연기념물을 보호하기 위해 지난 3월 송도 솔찬공원 내에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를 개관하고, 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운영을 맡았다.
동물들의 조난 원인은 어미를 잃은 어린 동물이 53건, 충돌 및 추락사고로 인한 부상이 34건, 기아 및 탈진으로 조난된 동물 31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충돌 및 추락사고의 경우 천연기념물인 솔부엉이, 소쩍새, 황조롱이가 17건으로 전체 34건 중에 절반을 차지했으며, 이 중에서도 안타깝게 폐사로 이어진 개체가 솔부엉이 4마리를 포함 총 8마리로 절반에 가까운 폐사율로 이어졌다.
이는 빠른 속도로 비행 중 건물 유리벽에 충돌할 경우, 뇌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충돌 이후 추락으로 인해 2차적으로 큰 부상을 입는 경우도 발생한다. 유리창에 자외선 반사테이프나 버드세이버 등을 활용해 야생조류를 보호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인천 관내 초·중·고 학교 및 단체의 신청을 받아 진행되며, 야생동물 보호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 필요성을 알리고자 교과를 벗어나 흥미로운 주제를 활용한 교육 및 체험 위주로 구성됐다.
지금까지 인천 관내 4개 학교의 고등학생 46명이 교육에 참가했다. 앞으로도 연간 6회 이상 교육을 실시하여 인천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야생동물 보호 의식을 함양하는 데 앞장설 계획이다.
인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관계자는 “지난 6월에는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 동물에 속하는 저어새가 버려진 낚시 줄과 바늘로 인해 심각한 손상을 입고, 구조 된 지 1시간 만에 폐사한 안타까운 사례도 있었다”면서 “우리의 이웃인 야생생물을 보호하고, 다음 세대에게 건강한 생태계를 물려줄 수 있도록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